(그림 I-1) Process summary for SD concept
1. PreSales
Contact
-> Inquiry(문의)
-> Quotation(견적)
-> SalesOrder(판매오더)
Contract(계약)
-> SalesOrder(판매오더)
실제 판매 주문을 생성하기 전, 고객의 관심을 확인하고 상담하는 단계. Inquiry
, Quotation
혹은 Contract
에 의해 SalesOrder
를 생성할 수 있다.
1) Inquiry(문의)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정보를 요청하는 문서. Inquiry에 의해 SalesOrder
가 생성되거나, Quotation
이 생성될 수 있다.
1. Transaction Codes
T-code | Description |
---|
VA11 | 문의 생성 |
VA12 | 문의 변경 |
VA13 | 문의 조회 |
VA05 | 고객별 판매 문서 조회 (문의 포함) |
VA93 | 문의 문서 유형 유지보수 (커스터마이징) |
2. Document Structure
- 헤더(Header): 고객 정보, 문서 유형, 유효 기간 등
- 항목(Items): 자재, 요청 수량, 납품 일정 (필요 시)
3.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VBAK | 판매 문서 헤더 데이터 (AUART = 'IN' 이면 문의 문서) |
VBAP | 판매 문서 항목 데이터 |
VBKD | 판매 문서 사업 데이터 (가격 조건 등) |
VBFA | 문서 흐름 (예: 문의 → 견적 또는 주문 추적) |
VBEP | 납품 일정 데이터 (사용하는 경우) |
VBPA | 파트너 함수 데이터 (Sold-to, Ship-to 등) |
2) Quotation(견적)
고객이 문의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가격, 수량, 납기 등을 포함한 문서. Quotation은 고객이 견적을 수락하면 SalesOrder
으로 전환된다.
1.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VA21 | 견적 생성 |
VA22 | 견적 변경 |
VA23 | 견적 조회 |
VA05 | 고객별 판매 문서 조회 (견적 포함) |
2. Document Structure
- 헤더(Header): 문서 유형, 고객, 유효기간, 조건 등
- 항목(Items): 자재, 수량, 가격, 납기 일정 등
3.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VBAK | 판매 문서 헤더 (AUART = 'QT' 이면 견적 문서) |
VBAP | 판매 문서 항목 |
VBKD | 사업 데이터 (고객 조건 등) |
VBFA | 문서 흐름 (문의 → 견적 → 주문 추적) |
VBEP | 납품 일정 |
VBPA | 파트너 데이터 |
3) Contract(계약)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조건 하에 반복적으로 거래하기 위한 판매 문서. 실제 납품은 계약을 바탕으로 ReleaseOrder
로 생성된다.
계약 문서 유형은 CQ
(수량 계약), WK
(가치 계약) 등이며, 고객 시스템에 따라 추가로 정의될 수 있음
항목 | Release Order | Sales Order |
---|
정의 | 계약(Contract)을 참조하여 생성된 주문 | 일반적인 판매 주문 |
기반 문서 | 계약 문서 (예: CQ, WK) | 없음 또는 견적, 문의 |
목적 | 계약 수량 또는 금액을 소진하기 위해 | 독립적으로 판매 수행 |
문서 유형 | 주로 OR 이나 계약 참조 필수 | OR , TA , 기타 다양한 유형 |
문서 흐름 예 | 계약 → 릴리즈 오더 → 납품 → 청구 | 오더 → 납품 → 청구 |
제약 조건 | 계약 유효 기간, 잔여 수량/금액 | 별도 계약 조건 없음 |
⭕ 모든 Release Order는 Sales Order이다.
❌ 모든 Sales Order가 Release Order는 아니다.
1.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VA41 | 계약 생성 |
VA42 | 계약 변경 |
VA43 | 계약 조회 |
VA05 | 고객별 판매 문서 조회 (계약 포함) |
2. Document Structure
- 헤더(Header): 계약 번호, 문서 유형, 계약일, 고객 정보 등
- 항목(Items): 자재 번호, 계약 수량, 금액 등
3.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VBAK | 판매 문서 헤더 (AUART = 'CQ' 또는 WK ) |
VBAP | 판매 문서 항목 |
VBKD | 사업 데이터 |
VBEP | 납품 일정 |
VBPA | 파트너 정보 |
VBFA | 문서 흐름 (계약 → 릴리즈 오더 추적) |
2. SalesOrder Processing
납품 및 청구로 이어지는 SalesOrder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1)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VA01 | 판매 주문 생성 |
VA02 | 판매 주문 변경 |
VA03 | 판매 주문 조회 |
VA05 | 고객별 판매 문서 조회 |
VA08 | 조건 재결정 |
VA07 | 오픈 판매 오더 조회 |
2) Document Type (AUART)
문서 유형 | 설명 |
---|
OR | 표준 판매 주문 (Standard Order) |
TA | 텔레세일 오더 (Telephone Order) |
RE | 반품 오더 (Return Order) |
KE | 간접 판매 주문 (Consignment Order) |
Z* | 고객별 커스텀 오더 유형 (예: ZOR , ZRE 등) |
3) Document Structur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Sales Order
├── Header (VBAK)
│ ├── 판매 문서 번호 (VBELN)
│ ├── 고객 정보 (KUNNR)
│ ├── 문서 유형 (AUART)
│ ├── 주문일자, 인코텀, 결제조건 등
│
├── Items (VBAP)
│ ├── 자재 번호 (MATNR)
│ ├── 수량, 가격, 조건 유형
│ ├── 딜리버리 일정
│
├── Schedule Lines (VBEP)
│ ├── 납기일, 납품 수량
│
├── Partner Functions (VBPA)
│ ├── Sold-to, Ship-to, Bill-to, Payer
│
├── Pricing Conditions (KONV, VBKD)
│ ├── 단가, 할인, 세금
│
└── Document Flow (VBFA)
└── 오더 → 납품 → 청구 흐름
|
4)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VBAK | 판매 문서 헤더 |
VBAP | 판매 문서 항목 |
VBKD | 고객 비즈니스 데이터 (조건, 납기 등) |
VBEP | 딜리버리 일정 정보 |
VBPA | 파트너 정보 |
KONV | 가격 조건 |
VBFA | 문서 흐름 추적 (예: 오더 → 납품) |
3. Inventory Sourcing
재고의 가용성, 입고 예정, 창고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납품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1) Conditions
항목 | 설명 |
---|
Available Stock (가용 재고) | 현재 창고 또는 플랜트에 실제 존재하는 수량 |
ATP (Available-to-Promise) | 고객에게 약속할 수 있는 재고 계산 (재고 + 입고 예정 - 기존 예약) |
소싱 전략 | 공장/창고 우선순위 설정 |
Backorder | 재고 부족 시 대기 주문 처리 |
Transfer Order | 타 창고 또는 플랜트에서 재고 이동 |
2) Transaction Codes and Key Tables
T-code / 테이블 | 설명 |
---|
CO09 | ATP 체크 화면 (가용 수량 확인) |
VA01 , VA02 | 주문 생성/변경 시 재고 소싱 확인 |
VL10B | 구매요청/납품 요청 기반 납품 생성 |
VBBE , VBBS | ATP 계산 시 사용되는 테이블 |
V_RA | 소싱 분석 리포트 |
4. Delivery / Transportation
1) TransferOrder
창고 내 또는 창고 간의 재고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내부 문서. 보통 WM (Warehouse Management) 모듈에서 사용되며, 재고를 하나의 저장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1.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LT01 | Transfer Order 생성 |
LT10 | 다중 TO 대량 생성 |
LT21 | TO 처리 상태 확인 |
LT12 | TO 완료 확인 (Confirm) |
2.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LTAK | Transfer Order 헤더 |
LTAP | Transfer Order 항목 |
🔄 STO vs TO
항목 | STO (Stock Transport Order) | TO (Transfer Order) |
---|
정의 | 조직 간 재고 이동을 위한 구매오더 형태의 주문서 | 창고 간 또는 위치 간 자재 이동을 위한 실행 지시서 |
사용 모듈 | MM (Materials Management) + SD, FI 연계 가능 | WM (Warehouse Management) |
재무 영향 | 있음 (회사 간 이동 시 회계 문서 생성) | 없음 (내부 물류 이동) |
생성 | ME21N | LT01 , LT10 |
변경 | ME22N | LT12 (확인) |
납품문서 생성 | VL10B , VL10D | LT03 (TO 생성 from Delivery) |
입고처리 | MIGO | LT12 |
조회 | ME23N , VL03N , MIGO | LT22 |
2) 납품문서 (Delivery Document)
고객에게 상품을 출하하기 위해 생성되는 물류 실행 문서. SalesOrder
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실제 출고 작업(Picking, Packing, Goods Issue)의 기준이 된다.
1.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VL01N | 납품문서 생성 |
VL02N | 납품문서 변경 |
VL03N | 납품문서 조회 |
VL10B | 자동 납품 생성 (일괄) |
2.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LIKP | 납품문서 헤더 |
LIPS | 납품문서 항목 |
🔽 하위 프로세스: PGI (Post Goods Issue)
PGI(납품 완료 처리)는 납품문서에 대한 최종 실행 단계로, 재고가 실제 출하되었음을 시스템에 반영한다.
이 작업을 통해 재고는 감소되고, 회계 문서가 생성되며, 납품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1.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VL02N | 납품문서에서 PGI 실행 |
MB51 | 재고 이동 기록 확인 |
MB1A | 수동 출고 처리 (비표준) |
2.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MKPF | 회계 문서 헤더 |
MSEG | 재고 이동 항목 |
LIKP , LIPS | PGI 상태 포함 |
5. Billing
고객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청구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SAP에서는 이 Billing 단계에서 회계 문서가 생성되어 매출 인식과 미수금(AR)이 반영된다.
📌 판매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로, 납품 또는 서비스 완료 이후 수행됨
1) Billing Types
유형 | 설명 |
---|
F2 | 표준 청구서 (Standard Invoice) |
G2 | 신용 메모 (Credit Memo) |
L2 | 반품 청구서 (Return Credit) |
IV | Intercompany Invoice |
DR | 대금청구 요청서 (Debit Request) |
2) Transaction Codes
T-code | 설명 |
---|
VF01 | Billing 문서 생성 |
VF02 | Billing 문서 변경 |
VF03 | Billing 문서 조회 |
VF04 | 자동 청구 처리 (일괄 생성) |
VF05 | 청구 문서 리스트 |
3) Key Tables
테이블 | 설명 |
---|
VBRK | Billing 문서 헤더 |
VBRP | Billing 문서 항목 |
BKPF | FI 회계 문서 헤더 |
BSEG | FI 회계 문서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