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 Module Free Goods
SAP SD 무상 상품 생성 프로세스
1. 무상 상품(Free Goods) 개요
고객에게 추가 비용 없이 제공되는 상품을 의미. 다음과 같은 비즈니스 시나리오에서 활용된다.
- 판촉 활동: 특정 수량 이상 구매 시 무료 제공되는 상품
- 샘플 제공: 신제품 홍보를 위한 무료 샘플
- 보상 상품: 고객 불만 처리나 보상을 위한 무료 상품
- 번들 제품: 주요 제품 구매 시 무료로 제공되는 번들 상품
SAP SD에서는 무상 상품 관리를 위해 세 가지 주요 Transaction Code(VBN1, VBN2, VBN3)를 제공한다.
2. 무상 상품 설정 시 고려사항
통합 관점
- SD-MM 통합: 무상 상품 출고를 위한 재고 관리와의 연계
- SD-FI 통합: 재무적 관점에서의 무상 상품 가치 처리
비즈니스 규칙 설정
- 계절성 고려: 특정 시즌에만 적용되는 무상 상품 규칙
- 고객 계층화: VIP 고객, 일반 고객 등 고객 유형별 차별화된 무상 상품 정책
- 제품 수명 주기: 신제품 출시, 제품 단종 시점에 따른 무상 상품 전략
시스템 설정
- 가격결정 절차: 무상 상품의 가격 결정 메커니즘 설정
- 출고 관리: 무상 상품의 창고 출고 프로세스 설정
- 문서 관리: 무상 상품 관련 문서(인보이스, 출고 지시서 등) 처리 방식
3. 무상 상품 생성 Transaction Codes
VBN1 - 무상 상품 결정 생성(Create Free Goods Determination)
무상 상품 결정 레코드를 생성하는 기본 TCode.
주요 기능:
- 신규 무상 상품 규칙 생성
- 기준 상품과 무상 제공될 상품 간의 연결 설정
- 적용될 판매 조직, 유통 채널, 제품 부문 지정
입력 파라미터:
- 기준 자재(Material): 무상 상품이 제공되는 기준이 되는 자재
- 무상 상품 자재: 무료로 제공될 상품
- 수량 임계값: 무상 상품 제공의 기준이 되는 주문 수량
- 비율/수량: 제공될 무상 상품의 수량 또는 비율
- 무상상품범주(Free Goods Category): 무상 상품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중요 파라미터
- 포괄적 리베이트(Inclusive Rebate): 주문 금액에 포함되어 있으나 별도 라인 아이템으로 표시되는 방식. 무상상품의 가치가 주문 총액에 포함되지만, 고객에게는 무료로 제공되는 효과
- 배타적(Exclusive): 순수한 무상 상품으로, 가격 책정에서 완전히 제외되며 재무적으로도 별도 처리되는 방식
- 리베이트포함(Rebate Included): 리베이트 계약의 일부로 처리되는 무상 상품. 고객과의 리베이트 계약에 따라 무상 상품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리베이트 정산과 연계됨
실행 프로세스:
- VBN1 TCode 입력
- 판매 조직(Sales Org), 유통 채널(Distribution Channel), 제품 부문(Division) 입력
- 무상 상품 결정 유형 선택 (예: 자재별, 자재 그룹별, 고객별 등)
- 기준 자재 및 무상 제공될 자재 정보 입력
- 임계값 및 제공 수량/비율 설정
- 유효 기간 설정
- 저장
VBN2 - 무상 상품 결정 변경(Change Free Goods Determination)
기존에 생성된 무상 상품 결정 레코드를 수정하는 TCode
주요 기능:
- 기존 무상 상품 규칙 수정
- 임계값 및 제공 수량/비율 변경
- 유효 기간 수정
- 특별 조건 추가/수정
실행 프로세스:
- VBN2 TCode 입력
- 판매 조직, 유통 채널, 제품 부문 입력
- 수정할 무상 상품 결정 레코드 선택
- 필요한 필드 수정 (임계값, 제공 수량, 유효기간 등)
- 저장
VBN3 - 무상 상품 결정 조회(Display Free Goods Determination)
기존에 설정된 무상 상품 결정 레코드를 조회하는 TCode
주요 기능:
- 무상 상품 결정 레코드 조회
- 설정된 규칙 검토
- 유효한 무상 상품 규칙 확인
실행 프로세스:
- VBN3 TCode 입력
- 판매 조직, 유통 채널, 제품 부문 입력
- 조회할 무상 상품 결정 레코드 선택
- 상세 내용 확인
4. 주요 Configuration 테이블
- KOMP: 무상 상품 결정 테이블
- KOMG: 무상 상품 결정 그룹 테이블
- KOMK: 무상 상품 결정 헤더 테이블
5. 실제 운영 시나리오
시나리오 1: 고객/자재 키조합 시나리오
특정 비즈니스 파트너(BP)에게 특정 자재를 구매할 때 무상상품을 제공하는 케이스
1-A: 포괄적 리베이트(Inclusive Rebate) 적용
대형 거래처 A사가 프리미엄 노트북(자재코드: NT1000)을 구매할 때마다 노트북 가방(자재코드: BAG200)을 무상으로 제공
1
2
3
4
5
6
7
VBN1 설정:
- 키 조합: 고객(1000123)/자재(NT1000)
- 기준 자재: NT1000 (프리미엄 노트북)
- 무상 상품: BAG200 (노트북 가방)
- 임계값: 1 (1개당)
- 무상 제공 수량: 1
- 무상상품범주: 포괄적 리베이트
비즈니스 영향:
- 노트북 가방의 가치가 인보이스에 별도 라인으로 표시되나 금액은 0원
- 회계적으로는 노트북 가격에 가방 원가가 포함되어 처리
- 매출 통계에서 가방의 판매 수량은 집계되지만 매출액에는 영향 없음
- 마케팅 부서는 이 프로모션의 비용 효과를 모니터링 가능
1-B: 배타적(Exclusive) 적용
SMB 고객(자재코드: 2000456)이 서버 장비(자재코드: SV2000)를 5대 이상 구매 시 무상 설치 서비스(자재코드: INST100) 제공
1
2
3
4
5
6
7
VBN1 설정:
- 키 조합: 고객(2000456)/자재(SV2000)
- 기준 자재: SV2000 (서버 장비)
- 무상 상품: INST100 (설치 서비스)
- 임계값: 5 (5개 이상)
- 무상 제공 수량: 1
- 무상상품범주: 배타적
비즈니스 영향:
- 설치 서비스는 완전히 무료로 처리되어 회계상 매출로 잡히지 않음
- 서비스 원가는 마케팅/판촉 비용으로 처리
- 세금 계산서에 무상 서비스 항목이 별도로 표시되지 않음
- 재고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자재가 소진되지만 매출로 기록되지 않음
1-C: 리베이트포함(Rebate Included) 적용
제약 유통업체(고객코드: 3000789)와의 연간 리베이트 계약의 일환으로, 특정 의약품(자재코드: MED500) 구매 시 보조 의약품(자재코드: MED100) 무상 제공
1
2
3
4
5
6
7
VBN1 설정:
- 키 조합: 고객(3000789)/자재(MED500)
- 기준 자재: MED500 (주 의약품)
- 무상 상품: MED100 (보조 의약품)
- 임계값: 100 (100개당)
- 무상 제공 수량: 10
- 무상상품범주: 리베이트포함
비즈니스 영향:
- 무상 제공된 보조 의약품은 연간 리베이트 계약의 일부로 처리
- 리베이트 정산 시 무상 제공된 의약품 가치가 리베이트 금액에서 차감
- 계약 관리 모듈과 연계되어 리베이트 지급 관리에 영향
- 연말 정산 시 리베이트 지급액 감소 효과
시나리오 2: 영업조직/유통경로/자재 키조합 시나리오
특정 영업조직의 특정 유통경로에서 판매되는 자재에 무상상품을 제공하는 케이스
2-A: 포괄적 리베이트(Inclusive Rebate) - 가맹점 채널
화장품 사업부(영업조직: 1000)의 가맹점(유통경로: 10) 채널에서 기초 화장품 세트(자재코드: COS100) 판매 시 샘플 키트(자재코드: SAMP50) 제공
1
2
3
4
5
6
7
VBN1 설정:
- 키 조합: 영업조직(1000)/유통경로(10)/자재(COS100)
- 기준 자재: COS100 (기초 화장품 세트)
- 무상 상품: SAMP50 (샘플 키트)
- 임계값: 1 (1개당)
- 무상 제공 수량: 1
- 무상상품범주: 포괄적 리베이트
비즈니스 영향:
- 가맹점 주문서에 샘플 키트가 별도 라인으로 표시되지만 금액은 0원
- 가맹점 마진 계산 시 샘플 키트 원가가 고려되어 본사-가맹점 간 이익 분배에 영향
- 가맹점은 고객에게 샘플을 무료로 제공하여 고객 경험 향상 및 재구매율 증가 기대
2-B: 배타적(Exclusive) - 직영점 채널
전자제품 사업부(영업조직: 2000)의 직영점(유통경로: 20) 채널에서 고급 TV(자재코드: TV8000) 판매 시 무상 월마운트(자재코드: MNT200) 제공
1
2
3
4
5
6
7
VBN1 설정:
- 키 조합: 영업조직(2000)/유통경로(20)/자재(TV8000)
- 기준 자재: TV8000 (고급 TV)
- 무상 상품: MNT200 (월마운트)
- 임계값: 1 (1개당)
- 무상 제공 수량: 1
- 무상상품범주: 배타적
비즈니스 영향:
- 직영점 재고 시스템에서 월마운트가 판매 없이 소진되는 것으로 처리
- 직영점 실적 평가 시 순수 TV 판매 실적만 반영, 무상품은 별도 판촉 비용으로 처리
- 본사의 직영점 지원 예산에서 월마운트 원가 감소
- 무상 제공된 월마운트에 대한 설치 서비스는 추가 수익원으로 활용 가능
2-C: 리베이트포함(Rebate Included) - B2B 채널
식품 사업부(영업조직: 3000)의 B2B 채널(유통경로: 30)에서 대량 식자재(자재코드: FOOD500) 공급 계약에 무상 시즌 상품(자재코드: SEAS100) 제공
1
2
3
4
5
6
7
VBN1 설정:
- 키 조합: 영업조직(3000)/유통경로(30)/자재(FOOD500)
- 기준 자재: FOOD500 (대량 식자재)
- 무상 상품: SEAS100 (시즌 식품)
- 임계값: 1000 (1000kg당)
- 무상 제공 수량: 50 (50kg)
- 무상상품범주: 리베이트포함
비즈니스 영향:
- B2B 고객과의 연간 공급 계약에 포함된 리베이트 조건으로 처리
- 계약 기간 종료 시 실제 리베이트 지급액과 무상 제공된 시즌 상품의 가치를 상계
- 대형 고객과의 거래 조건 협상에서 경쟁 우위 확보
- 연간 계약 갱신 시 무상 제공 조건을 레버리지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