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Purchase Order

PR -> PO -> GR -> IV

I. Terms

1. PO(Purchase Order)

  1. PR(Purchase Requisition): 구매요청
  2. RFQ(Request for Quotation): 견적요청서

공급업체에게 필요한 자재를 언제까지 얼만큼 달라고 요청하는 문서. PR에 의한 RFQ를 참조하거나, 구매담당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다. PO는 공급 업체를 대상으로 생성(외부조달)되지만, 재고 이전을 위해 같은 회사코드의 다른 플랜트로 이동(내부조달)시키기 위해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PO의 생성 방식은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각 부서에서 직접 생성
  2. PR을 PO로 전환
  3. 다른 PO를 복사해서 생성

1) STO(Stock Transfer Order)

플랜트 간 재고 이동 시, 운송비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고이동 구매오더를 사용해 비용 등을 정산

2) 표준오더

가장 일반적인 PO로, 입고와 동시에 재고에 반영되며 기타 물대 및 부대 비용에 대한 대금 처리가 진행됨

3) 외주임가공(무상사급)

회사 제품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원재료 등을 특정 거래처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형태. 완제품 입고 시 재고 수량에 반영되며, 업체에 제공한 하위 원재료에 대한 출고가 발생된다. 회계 전표는 가공 완료된 제품을 입고 받은 시점에 처리된다.

4) 위탁재고

제품 입고 시 자산으로 잡히지 않고, 수량에 대한 관리만 진행되는 형태. 실제 창고에서 출고된 수량에 대해서만 정산이 진행됨.

5) 서비스

용역비 정산을 위한 구매오더.

II. Transaction Code

1. ME21N, ME22N, ME23N

구매오더생성, 변경, 조회에 사용.

2. VL10B

동일 회사 코드 내 플랜트 간 재고 이전 시, 출고지시(Outbound Delivery) 생성에 사용(STO)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