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MM Module Process

SAP MM 모듈의 문서 흐름 이해

1. 개요

SAP MM(Materials Management) 모듈은 자재 관리 프로세스의 핵심 요소를 통합하여 조직의 조달 및 재고 관리를 효율화한다. 전체 문서 흐름은 다음과 같은 순차적 과정으로 구성된다:

graph LR
  A[Material Master 생성] --> B[PR: 구매요청]
  B --> C[PO: 구매발주]
  C --> D[GR: 입고]
  D --> E[IV: 송장검증]
  style A fill:#f9f9f9,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B fill:#e1f5fe,stroke:#01579b,stroke-width:2px
  style C fill:#e8f5e9,stroke:#2e7d32,stroke-width:2px
  style D fill:#fff3e0,stroke:#e65100,stroke-width:2px
  style E fill:#f3e5f5,stroke:#7b1fa2,stroke-width:2px

이 프로세스는 자재 정보의 생성부터 시작하여 구매, 입고, 대금 지불까지의 전체 조달 사이클을 관리한다. 각 단계는 이전 단계의 정보를 참조하며, 시스템 내에서 추적 가능한 문서 흐름을 형성한다.

2. Material Master (자재 마스터)

2.1 개요

SAP 시스템 내에서 모든 자재 관련 정보의 중앙 저장. 효율적인 조달 프로세스의 기초가 되며, 자재에 관한 모든 필수 정보를 저장한다.

주요 구성 요소:

  • 기본 데이터: 자재 번호, 설명, 단위, 자재 유형
  • 구매 데이터: 구매 단위, 표준 가격, 구매 그룹
  • 회계 데이터: 가격 관리, 원가 계산, 평가 클래스
  • 창고 관리 데이터: 저장 위치, 배치 관리
  • 영업 데이터: 판매 단위, 가격 정책

자재 마스터는 여러 뷰(Views)로 구성되며, 각 부서(구매, 회계, 생산, 창고 등)는 각자의 관점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2.2 관련 T-Code 및 활용법

T-Code설명주요 기능
MM01자재 마스터 생성새로운 자재 정보 등록
MM02자재 마스터 변경기존 자재 정보 수정
MM03자재 마스터 조회자재 정보 열람 (읽기 전용)
MM06자재 차단/해제자재 사용 제한 또는 해제
MM60자재 일괄 생성다수의 자재 동시 생성
MMBE재고 조회자재별 재고 현황 확인

자재 마스터 관리 시 주요 고려사항:

  1. 완전성: 모든 필수 필드는 정확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2. 일관성: 자재 분류 체계는 조직 전체에서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3. 유지 관리: 자재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검토 및 업데이트해야 한다.

자재 마스터 뷰(Views) 예시:

포함 정보
기본 데이터 1자재 설명, 단위, 자재 그룹, 일반 항목 범주 그룹
구매구매 단위, 자동화된 PO 허용 여부, 구매 그룹
회계 1가격 관리, 자재 가격 단위, 표준 가격
회계 2평가 클래스, 가격 결정, 원가 계산
창고 관리저장 조건, 온도 조건, 위험물 지표

3. Purchase Requisition (구매요청)

3.1 개요

특정 자재나 서비스의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문서화하는 내부 문서. 이는 실제 구매 프로세스의 첫 단계이며, 조직 내 다양한 부서에서 발생할 수 있다.

구매요청의 주요 요소:

  • 자재/서비스 정보: 요청된 자재 또는 서비스의 상세 사양
  • 수량 및 납기일: 필요한 수량과 요구되는 납품 시점
  • 계정 지정 정보: 예산 할당 및 비용 센터 정보
  • 공급업체 제안: 선호하는 공급업체가 있는 경우 지정 가능

구매요청 생성 방식:

  1. 수동 생성: 사용자가 직접 구매요청 트랜잭션을 통해 생성
  2. 자동 생성: MRP(자재소요계획) 실행 결과로 생성
  3. 서비스 요청: 서비스 관리 모듈에서 생성
  4. 프로젝트 시스템: 프로젝트 관련 자재/서비스 요청으로 생성

3.2 관련 T-Code 및 활용법

T-Code설명주요 기능
ME51N구매요청 생성새로운 구매요청 작성
ME52N구매요청 변경기존 구매요청 수정
ME53N구매요청 조회구매요청 정보 열람
ME54N구매요청 릴리스승인 절차에 따른 릴리스
ME5A구매요청 목록여러 구매요청 조회
ME59N구매요청 전환PR을 PO로 변환

구매요청 상태 흐름:

stateDiagram-v2
    [*] --> 생성: 사용자 작성
    생성 --> 대기: 저장
    대기 --> 승인대기: 제출
    승인대기 --> 승인완료: 승인자 확인
    승인대기 --> 반려: 승인 거부
    반려 --> 수정: 재작성
    수정 --> 승인대기: 재제출
    승인완료 --> PO변환: 구매부서
    PO변환 --> [*]

구매요청 문서 필드 구조:

필드 영역필드명설명
헤더 정보요청 번호시스템 생성 구매요청 식별자
 요청 일자구매요청 생성 날짜
 요청자구매요청 생성한 사용자
항목 정보자재 코드요청 자재의 고유 코드
 수량/단위요청 수량과 측정 단위
 납기 요청일자재가 필요한 날짜
회계 정보GL 계정비용 계정 코드
 코스트 센터비용 귀속 부서
공급업체 정보제안 공급업체선호하는 공급업체 정보 (선택사항)

4. Purchase Order (구매발주)

4.1 개요

공급업체에게 특정 자재나 서비스의 공급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외부 문서. 구매요청(PR)이 승인되면 이를 기반으로 구매발주가 생성된다.

구매발주의 주요 특징:

  • 법적 구속력: 공급업체와의 계약적 합의로 법적 효력 발생
  • 가격 조건: 단가, 할인, 세금 등 금전적 조건 명시
  • 납품 조건: 납품 일정, 장소, 방법 등 명시
  • 지불 조건: 지불 방법, 기간 등 결제 관련 조건 명시

구매발주 유형:

  1. 표준 PO: 일반적인 자재/서비스 구매에 사용
  2. 계약: 장기적인 구매 조건을 명시한 프레임워크 계약
  3. 일정합의서: 정기적인 납품 일정이 있는 자재용
  4. 컨소시엄 계약: 여러 공급업체가 참여하는 계약

4.2 관련 T-Code 및 활용법

T-Code설명주요 기능
ME21N구매발주 생성새로운 구매발주 작성
ME22N구매발주 변경기존 구매발주 수정
ME23N구매발주 조회구매발주 정보 열람
ME29N구매발주 릴리스승인 절차에 따른 릴리스
ME2L공급업체별 구매발주 목록특정 공급업체 관련 PO 조회
ME2M자재별 구매발주 목록특정 자재 관련 PO 조회
ME2N구매발주 목록다양한 조건으로 PO 조회
ME25발주이력구매발주 변경 이력 조회

구매발주 생성 방법:

flowchart TD
    A[시작] --> B{생성 방법 선택}
    B -->|직접 생성| C[ME21N 실행]
    B -->|PR에서 변환| D[ME59N/ME21N 실행]
    B -->|계약에서 생성| E[ME31K 실행]
    C --> F[공급업체 및 구매조직 입력]
    D --> F
    E --> F
    F --> G[자재/서비스 및 수량 입력]
    G --> H[가격 및 납품 조건 설정]
    H --> I[문서 저장]
    I --> J{승인 필요?}
    J -->|Yes| K[승인 프로세스]
    J -->|No| L[완료]
    K --> L

구매발주 문서 구조:

문서 영역주요 내용
헤더구매 조직, 구매 그룹, 공급업체, 통화, 지불 조건
항목자재 코드, 수량, 납기일, 공장, 저장 위치
계정 지정비용 센터, GL 계정, 내부 오더, WBS 요소
조건가격, 수량 별 할인, 운송비, 세금

문서 흐름에서의 연결:

  • PR 번호가 PO에 참조되어 추적 가능
  • 여러 개의 PR을 하나의 PO로 통합 가능
  • 하나의 PR을 여러 개의 PO로 분할 가능

5. Goods Receipt (입고)

5.1 개요

주문한 자재가 실제로 회사에 도착했을 때 이루어지는 프로세스. 구매발주(PO)에 대한 물리적 이행을 확인하고 시스템에 기록하는 과정이다.

입고 프로세스의 중요성:

  • 재고 관리: 실제 재고 수량 업데이트
  • 회계 처리: 자산 가치 증가 및 관련 회계 처리 트리거
  • 품질 관리: 자재 검사 프로세스 시작점
  • 공급업체 성과 측정: 정시 납품 및 품질 평가 지표

입고 시 발생하는 주요 프로세스:

  1. 물리적 입고: 자재의 실제 도착 및 검수
  2. 시스템 입력: PO 참조하여 시스템에 입고 정보 기록
  3. 재고 업데이트: 사용 가능한 재고로 수량 반영
  4. 회계 처리: 자재 가치에 대한 회계 전표 생성
  5. 문서 생성: 입고 문서 생성 및 관련 문서와 연결

5.2 관련 T-Code 및 활용법

T-Code설명주요 기능
MIGO자재 문서 처리입고, 출고, 이동 등 통합 처리
MB01입고 처리자재 입고 전용 처리
MB1C후속 입고 처리이미 처리된 입고에 대한 후속 조치
MBST재고 상태 변경품질 검사 등 재고 상태 변경
MB51자재 문서 조회입고 관련 문서 이력 조회
MB90입고/출고 문서 조회입고 및 출고 문서 통합 조회

입고 처리 흐름:

sequenceDiagram
    participant 물류담당자
    participant SAP시스템
    participant 품질관리
    participant 회계
    
    물류담당자->>SAP시스템: MIGO 실행 (입고 처리)
    SAP시스템->>물류담당자: PO 참조 기능 제공
    물류담당자->>SAP시스템: PO 번호 입력
    SAP시스템->>물류담당자: PO 항목 정보 표시
    물류담당자->>SAP시스템: 입고 수량 확인/수정
    물류담당자->>SAP시스템: 저장 위치 지정
    물류담당자->>SAP시스템: 입고 문서 저장
    SAP시스템->>물류담당자: 입고 문서 번호 생성
    SAP시스템->>품질관리: 검수 필요시 품질 검사 요청
    SAP시스템->>회계: 자재 가치에 대한 회계 전표 생성

입고 시 시스템 변화:

영역변화관련 테이블
재고 관리사용 가능 재고 증가MARD, MARC
회계자산 가치 증가MBEW, EBEW
문서 관리입고 문서 생성MKPF, MSEG
구매 정보입고 이력 업데이트EKBE
공급업체 평가납기 준수율 계산LFM1, LFM2

입고 처리 옵션:

  1. 일반 입고: 정상적인 PO 기준 입고
  2. 반품 처리: 공급업체로 반품 처리
  3. 차이 처리: 수량/품질 차이에 대한 처리
  4. 이전 문서 취소: 잘못된 입고 취소 처리
  5. PO 없는 입고: 특수한 경우 PO 없이 입고 처리

6. Invoice Verification (송장검증)

6.1 개요

공급업체로부터 받은 청구서를 검토하고 처리하는 마지막 단계. 주문 내용(PO), 실제 입고된 자재(GR), 그리고 공급업체의 청구 내용(Invoice)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송장검증의 핵심 목적:

  • 3방향 검증(3-way matching): PO, GR, Invoice 간의 일치 확인
  • 비용 관리: 정확한 비용 처리 및 중복/오류 방지
  • 지급 준비: 검증된 송장에 대한 지급 프로세스 개시
  • 세금 처리: 부가가치세 등 세금 관련 회계 처리
  • 문서화: 법적/회계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문서 관리

송장검증 과정의 주요 단계:

  1. 송장 접수: 공급업체로부터 송장 수령
  2. 데이터 입력: 시스템에 송장 정보 기록
  3. 검증 실행: PO 및 GR 데이터와 비교 검증
  4. 차이 처리: 발견된 차이에 대한 조정 또는 블록
  5. 회계 처리: 검증된 송장에 대한 회계 전표 생성
  6. 지급 예정: 지급 예정 정보 재무 모듈로 전달

6.2 관련 T-Code 및 활용법

T-Code설명주요 기능
MIRO송장 입력/검증송장 정보 입력 및 검증 처리
MIR7송장 사전 등록송장 임시 등록 (완전 검증 전)
MRBR송장 블록 해제블록된 송장의 해제 처리
MR8M송장 변경기존 등록된 송장 정보 수정
MRRL송장 취소처리된 송장 취소
MR01차액 처리금액 차이에 대한 조정 처리
MIRO_CCIN신용카드 송장법인카드 등 특수 송장 처리

송장검증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graph TD
    A[송장 접수] --> B[MIRO 실행]
    B --> C[공급업체 및 송장 번호 입력]
    C --> D[PO 번호 참조]
    D --> E[송장 항목 정보 확인]
    E --> F{검증 실행}
    F -->|차이 없음| G[송장 저장]
    F -->|차이 있음| H[차이 분석]
    H --> I{차이 허용 범위?}
    I -->|Yes| G
    I -->|No| J[송장 블록]
    J --> K[차이 조정]
    K --> G
    G --> L[회계 전표 생성]
    L --> M[지급 예정 정보 생성]

3방향 검증(3-way matching) 개념:

문서 유형검증 항목허용 오차
구매발주(PO)단가, 수량, 금액, 조건-
입고(GR)수량, 날짜±납품 허용 오차
송장(Invoice)단가, 수량, 금액, 세금±가격 허용 오차

송장검증 결과와 상태:

  1. 정상 처리: 모든 검증 통과, 지급 예정
  2. 금액 차이: 가격 또는 수량 불일치
  3. 세금 차이: 세금 계산 불일치
  4. GR 미완료: 송장에 대한 입고 미완료
  5. 중복 송장: 동일한 송장 중복 입력
  6. 품질 블록: 품질 문제로 인한 지급 보류
  7. 기타 블록: 내부 검토 필요로 인한 블록

송장검증 시 발생하는 회계 처리:

  • 매입채무 계정 증가 (Credit)
  • 자재/서비스 비용 또는 자산 계정 (Debit)
  • 부가가치세 등 세금 계정 처리
  • 현금 할인 등 지급 조건 관련 처리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